반응형
NFT란 무엇인지 NFT뜻 '대체 불가 토큰'을 알아보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필수로 알아야 하는 기본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또한 암호화폐와의 상관관계도 담았습니다.
NFT란 / NFT 뜻과 암호화폐와 관련성
NFT는 Non Fungible Token으로 대체 불가 토큰, 유일무이한 희소성이 있는 디지털 자산을 뜻합니다. 디지털 원본 증명서라고 이야기합니다. 디지털로 되어 있는 사진, 음악, 영상과 같은 파일들을 해당 작품을 소유했다는 증명서를 받아 살 수 있습니다. 모든 NFT에는 고유의 코드값을 가지고 있어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된 것일지라 하더라고 각각 다른 일련번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이 기본적인 NFT 뜻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암호화폐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NFT로 만들어진 디지털 파일들은 위조나 복사, 변조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즉, NFT는 블록체인 방식으로 사용한 디지털 원본 증명서라고 일컫습니다.
NFT 기본 용어
NFT거래를 하고 싶어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라면 너무 어려운 암호화폐와 관련된 용어들이 많습니다. 관련된 NFT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 DROP = 드랍, NFT 작품들이 거래소에 등록되어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거래소에 따라서 경매로 진행되는 작품이나 큐레이팅 된 작품들을 드랍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Airdrop = 공중에서 뿌린다는 뜻으로 NFT 작품을 무료로 나누어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NFT 거래소가 오픈할 때 아티스트들이 새로운 작품을 알리기 위해 무료로 배포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거래소에서 허용 시 이 작품들은 해당 거래소의 마켓플레이스에서 재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 Bid = 비딩 이라고도 하며, 경매방식으로 NFT 작품이 판매되는 것을 일컫습니다.
- Transaction = NFT가 거래되는 과정 자체를 말합니다. A에서 B로 소유권이 넘어갔을 때 혹은 얼마에 사고 팔렸는지 등의 모든 거래 정보를 의미합니다.
- Gas Fee = 거래수수료를 이야기하며 가스피라고도 부릅니다. 공공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누군가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을 채굴이라고 부르는데요 가스비는 채굴자에게 지불하는 수수료(네트워크 이용요금)라고 보면 됩니다.
- Minting = 그림, 사진 등의 디지털 파일을 NFT로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Mint라는 것이 원래 법정화폐를 주조하다, 틀에 부어 만들다 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요 여기에서 시작된 용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Smart Contract = 중간 보증인(중개인) 없이 당사자 간의 거래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계약조건 등을 등록한 시스템입니다. 이 모든 거래는 블록체인 상에 즉시 기록됩니다.
- Cryptp-currency Wallet = 암호화폐를 보관하는 지갑을 이야기하며 디지털 자산 지갑이라고 합니다. 각 암호화폐별로 쓰이는 지갑이 다르며 이 때문에 다소 복잡할 수 있습니다. 나의 계정에 두 개의 지갑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해당 거래소에서 허용해줘야 할 수 있습니다.
- MetaMask = 메타 마스크는 이더리움 코인을 거래하는 암호화폐 지갑을 의미합니다. 여우 모양으로 되어 있어 여우 지갑으로도 불립니다.
- Kaikas = 카카오의 블록체인인 클레이튼 기반의 암호화폐 지갑을 말합니다.
오늘은 NFT의 기본 뜻과 의미, 용어들을 알아보고 암호화폐와의 관련성까지 이야기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 애 서는 본격적으로 어떻게 NFT를 구매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 방문을 감사드립니다.
반응형
댓글